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봄꽃 개화현황
토토 롤링 알리미 공지방
행정토토 롤링집 바로가기
내손안에 기상정보 토토 롤링 날씨알리미
봄꽃 개화현황
토토 롤링 알리미 공지방
행정토토 롤링집 바로가기
내손안에 기상정보 토토 롤링 날씨알리미

부속사이트

가뭄 시 생활
행동요령

평상시 생활 속에서 가족 모두가 함께 작지만 소중한 물 절약 운동에 참여해 가뭄을 슬기롭게 극복합니다.

생활에서는

  • 주방이나 세탁할 때에는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가족 모두가 함께 동참합시다.
    • 식기류 세척시에는 물을 틀어 놓지 말고 받아서 사용합니다.
    •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는 휴지로 닦고 세척을 합니다.
    • 세탁할 때는 한꺼번에 빨래를 모아서 합니다.
    • 채소나 과일을 씻을 때에는 물을 틀어 놓지 말고 받아서 사용합니다.
    • 수도꼭지나 관의 누수를 철저히 점검합니다.
  • 화장실이나 욕실에서는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가족 모두가 함께 동참합시다.
    • 변기의 물통에 페트병이나 벽돌을 넣어서 사용합니다.
    • 세수를 할 때는 물을 틀어 놓지 말고 받아서 사용합니다.
    • 목욕을 할 때는 욕조의 물을 틀지 말고 샤워기로 적당량만 사용합니다.
    • 머리감는 동안 물 잠그고, 샴푸, 린스 사용량을 줄입니다.
    • 양치질을 할 때는 반드시 컵을 사용합니다.
    • 면도를 할 때는 물을 틀어놓지 말고, 세면기에 약간만 받아놓고 면도기를 씻습니다.
    • 절약형 샤워 꼭지나 수량 조절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사용합니다.
  • 실외에서는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가족 모두가 함께 동참합시다.
    • 잔디의 물 주기는 정확한 시기를 맞춰서 필요할 때에만 줍니다.
    • 정원이나 꽃밭에는 한 번 사용한 허드렛물을 재사용합니다.
    • 나무나 큰 식물에는 윗 덮개를 하여 수분의 증발과 잡초의 번식을 막습니다.
    • 건물 앞 인도나 도로변 청소는 빗자루를 사용하고 물청소는 가급적 자제합니다.
    • 세차할 때는 자동잠금장치가 있는 호스를 이용하고, 적당량의 물을 받아서 비누칠 한 후 세차 합니다.
    • 면도를 할 때는 물을 틀어놓지 말고, 세면기에 약간만 받아놓고 면도기를 씻습니다.
    • 호스관, 꼭지, 연결부 등의 누수를 방지합니다.

가뭄 시 농촌
행동요령

관정개발, 논물 가두기 등 농업용수를 확보하고, 논두렁 바르기, 비닐 깔기 등 농업용수 손실을 방지하여 지역 주민들과 함께 가뭄을 슬기롭게 극복합니다.

농촌에서는

  • 논농사 시에는 물을 사전에 확보하기 위해 지역 주민들과 함께 동참합시다.
    • 물을 끌어올 수 있는 시설(수로)이나 물을 퍼 올릴 수 있는 장비(양수기), 파종기, 전기시설, 송수호스는 수시 점검합니다.
    • 논에 물 가두기 등을 실시합니다.
    • 물 손실 방지를 위하여 수로, 논두렁 등을 정비합니다.
    • 못자리 급수조절 등을 통한 모(벼) 노화 방지를 합니다.
    • 집단못자리, 논물 걸러대기(간단관개), 건답직파 등을 통한 물 절약을 합니다.
    • 모내는 시기가 늦어 모를 못낸 논은 다른 작물을 파종합니다.
    • 모 활착기간 중에는 최소한 습기를 유지합니다.
    • 물이 가장 필요한 활착기(5~6월), 유수형성기(6~7월), 수잉기(7~8월)에 중점급수를 실시합니다.
    • 관정 등 이용 가능한 용수원을 사전에 개발합니다.
    • 대파용 종자 및 대체작물재배 계획을 미리 세워둡니다.
  • 밭작물 재배 시에는 물 부족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역 주민들과 함께 동참합시다.
    • 밭작물 재배지역 비닐 피복하기 및 절수 재배를 합니다.
    • 이동식 스프링클러 등을 이용하여 농작물이 시들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 밭작물 토양수분이 알맞을 때 파종, 해충방제 등 육묘관리를 합니다.
    • 토양 피복이 가능한 곳에서는 볏짚·비닐을 깔아 토양수분 증발을 최소화 합니다.
    • 밭작물 파종·정식 지연 지역은 늦게 심을 수 있는 내만식성 대체작물을 재배합니다.

자연재난에 대한 국민행동요령은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요약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http://www.safekorea.go.kr/)의 “국민행동요령”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